본문 바로가기

Git 그리고 GitHub

Git 설및 및 로컬저장소 만들기 내 컴퓨터에 Git 설치하기 로컬에 Git을 설치하려면 구글에서 "git 다운로드"를 검색하고 https://git-scm.com/downloads 링크로 접속합니다. Git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해서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링크를 클릭합니다. 다운로드 받은 화일을 실행한다음에 기본 설정을 유지한 채 [Next] 버튼을 눌러 설치를 합니다. Git이 잘 설치되었는지 보기 위해 Git Bash를 실행해보겠습니다. 윈도우 시작 버튼 옆에 있는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해서 'Git Bash'를 입력하고, 찾아서 실행합니다.검정화면이 뜹니다. '$' 표시 옆에 'git'이라고 입력을 합니다. 위와 같이 Git 기본 명령어에 대한 안내가 나오면 Git이 제대로 설치된 것입니다. 로컬 저장소 만들기 이제 내 컴퓨터에 .. 더보기
GitHub 가입하기 Git과 GitHub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GitHub에 가입해야 합니다. GitHub는 무료와 유료가 있지만 여기서는 일단 무료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https://GitHub.com/에 접속해서 [Sign up]버튼을 클릭합니다. Username, Email, Password를 입력하고 초록색 [Sign up for GitHub]버튼을 클릭합니다. 다른 GitHub 유저가 이미 사용하고 있는 이름은 Username으로 사용할 수 없고, Email 주소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여러개의 아이디를 생성하려면 여러개의 Email 주소가 필요합니다. 기재한 Email 주소로 확인 메일을 보내기 때문에 실제 사용가능한 Email 주소를 기재해야 합니다. [Sign up for GitHub] 버튼을 클릭하면 .. 더보기
Git 그리고 GitHub의 기본 개념 요즘 많이 사용되고 있는 Git과 GitHub에 대해 얘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은 버전관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버전관리란 무엇인가? 처음듣는 얘기같지만 사실 우리는 이미 버전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요즘 게임을 많이 합니다. 게임을 할 때 어디까지 했는지 저장을 했다가 다음에 시작할 때 거기서 부터 다시 시작합니다. 매번 처음부터 시작한다면 우리는 게임을 하지 않거나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워드작업을 할때도 실수한 부분이 있다면 ctrl+z를 눌러서 한단계씩 뒤로 갈 수 있습니다. 이는 어떤 시점(버전)으로 이동할 수 있게해주는 버전관리이며, 이를 도와주는 툴이 버전관리 시스템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들은 개인 컴퓨터에서 혼자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라면 별 상관이 없지만 만약 여러 사람이 함께.. 더보기